[A] 에듀테크 인공지능 수업/ChatGPT 4

ChatGPT 프롬프트 형식 비교하기 "단순VS개조식VS설명식"

인트로 요즘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 도구를 다양한 교육 및 업무 현장에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특히 글쓰기나 콘텐츠 제작에서 원하는 결과물을 얻기 위해서는 프롬프트(prompt)를 어떻게 작성하느냐가 매우 중요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동일한 주제인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프롬프트 작성 방식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습니다. 단순한 요청, 문장형 프롬프트, 개조식 프롬프트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어떤 방식이 더 효과적인 결과를 제공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비교하기ChatGPT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였을 때 결과를 비교해보고자 합니다.주제만 입력하는 경우프롬프트를 자세하게 입력한 경우왼쪽의 프롬프트를 개조식으로 입력한 경우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생성형AI활용하기 "목적,상황,맥락,배경정보설명하기" 프롬프트엔지니어링

인트로프롬프트 하나에도 결과는 달라집니다.“영어 에세이를 추천해줘”라고 단순히 요청하는 것과,“대상: 중학교 1학년 / 목적: 읽기 수행평가 / 추천 기준: 쉬운 문장, 그림 많은 책 / 주제: 환경, 기후변화 / 활동: 생각 글쓰기”처럼 구체적인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좋은 결과를 원한다면, 프롬프트 속에 ‘맥락’을 담아야 합니다.누가, 무엇을 위해, 어떤 조건으로, 어떻게 활용할지를 GPT에게 충분히 설명해 주세요.GPT는 문맥과 목적이 분명할수록 더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설명 목적,상황,맥락, 배경정보 등을 설명하면 더 관련성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원하는 콘텐츠의 사용 목적 및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자세하게 제공하면 됩니다. 이 글을 읽으면 다음을 ..

ChatGPT로평가기준제작하기 평가기준제작프롬프트

인트로2025학년도, 고등학교 특수학교의 국어 수업에서도 평가의 전문성과 학생 맞춤형 수업 설계가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특히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에서 학생들의 개별 특성과 학습 수준을 고려한 상·중·하 수준의 평가기준 마련은 실질적인 수업 운영과 평가의 핵심이 됩니다.하지만 문제는 여기서 시작됩니다.기존의 평가기준은 일반 고등학교 수준에 맞춰져 있어 특수학교 학생의 실제 수준과 학습 환경에 맞게 조정된 자료가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이 글은 바로 그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상황설명고등학교 특수학교 국어 선생님들이 성취기준에 맞는 평가 기준을 제작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이 글을 읽고나면 다음을 할 수 있습니다고등학교 특수학교 국어 교과에서 사용하는 듣기말하기, 읽기, ..

생성형AI활용하기 "페르소나설정하기" 프롬프트엔지니어링

인트로 인공지능을 더 똑똑하게 활용하는 방법, 궁금하지 않으신가요?이번 글에서는 AI에게 '페르소나'라는 역할을 부여해 더욱 전문적이고 상세한 답변을 얻는 방법을 소개합니다.이 글을 따라 하시면, 여러분도 원하는 역할을 AI에게 지정해 맞춤형 답변을 쉽게 받아볼 수 있습니다.인공지능에게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가상의 인물(페르소나)을 지정하면 상세하고 전문적인 답의 생성이 가능합니다. 인공지능에 있어 페르소나는 AI 기술을 활용하여 특정 목적이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입니다. 페르소나 [persona] 사전적 정의(심리학, 문학) 개인이 사회적 역할이나 대인 관계 속에서 외부에 드러내는 '가면적 자아' 또는 '사회적 자아'. 카를 융(Carl Jung)에 따르면, 인간은 내면의 진짜 자아(자기)와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