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에듀테크 인공지능 수업/ChatGPT

ChatGPT 프롬프트 형식 비교하기 "단순VS개조식VS설명식"

YEONJA 2025. 6. 16. 00:05

인트로

요즘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 도구를 다양한 교육 및 업무 현장에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특히 글쓰기나 콘텐츠 제작에서 원하는 결과물을 얻기 위해서는 프롬프트(prompt)를 어떻게 작성하느냐가 매우 중요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동일한 주제인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프롬프트 작성 방식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습니다. 단순한 요청, 문장형 프롬프트, 개조식 프롬프트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어떤 방식이 더 효과적인 결과를 제공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비교하기

ChatGPT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였을 때 결과를 비교해보고자 합니다.

주제만 입력하는 경우 프롬프트를 자세하게 입력한 경우 왼쪽의 프롬프트를 개조식으로 입력한 경우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글을 작성해줘.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명하는 글을 1000자 이내로 출력해줘. 용어, 설명 등 쉽고 친절하게 톤앤매너로 출력해줘. 주제 :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
대상 : 중학생
글의 종류 : 설명문
글자수 : 1000자 이내
톤앤매너 : 용어, 설명 등 쉽고 친절하게
https://chatgpt.com/share/684d22b9-40f8-8008-89b8-59e00eb99409 https://chatgpt.com/share/684d22cc-2b18-8008-991b-c8d047dd755f https://chatgpt.com/share/684d22e5-eda4-8008-9255-ddb533473ba3

 

왼쪽은 프롬프트를 개조식으로 입력한 경우, 오른쪽은 문장으로 프롬프트를 입력한 경우입니다.

(왼쪽) 프롬프트를 개조식으로 입력한 경우  (오른쪽) 프롬프트를 문장으로 입력한 경우

 

위 두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결론도출

단순하게 프롬프트를 작성하는 것보다는 자세하게 프롬프트를 입력하는 것이 원하는 결과물을 출력해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개조식으로 요청한 글은 설명 위주의 글이, 문장으로 작성한 프롬프트의 결과물은 요청한 부분을 좀 더 잘 반영해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상황에 맞게 개조식 또는 문장식 프롬프트를 선택하여 작성하며, 설명이 자세할수록 원하는 글의 출력이 가능하므로 설명식이 더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아웃트로

이번 비교를 통해 프롬프트 작성 방식에 따라 ChatGPT의 출력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단순한 요청보다는 구체적이고 자세한 설명을 담은 프롬프트가 원하는 방향에 더 잘 맞는 결과를 생성해줍니다. 또한 개조식과 문장식 모두 효과적일 수 있지만, 상황에 따라 더 명확하고 일관된 결과를 원한다면 문장식 설명이 더 적합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AI를 활용한 글쓰기나 과제, 자료 제작에서 프롬프트 설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목적에 맞는 표현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