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이해 - 경인교육대학교 신영준
2015 역량중심 교육과정
2022 역량함양 교육과정
2015 데세코 VS 2022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
역량과 지식은 경쟁적이거나 배타적 개념이 아니다
지식을 바탕으로 역량을 발휘하고, 성장하는 역량을 사용하여 지식을 확대하고, 적용하고 이해를 심화한다
변혁적 역량 = 개인의 내적 역량 + 외적 역량(정치, 경제, 사회적 환경이나 조건) >> 결합된 역량
자신의 세계를 지닌 현재 시민 being citizen
교육과정 개발 문제점
01 학교 현장의 상황 및 실정 반영 미흡
02 교사 참여 기회 미흡
미래사회 및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교육 내용 강화
디지털소양 - 여러 교과를 학습하는데 기반되는 언어, 수리, 디지털 소양 등을 기초 소양으로 강조하고 총론 및 교과 교육과정에 반영
생태전환교육 -
자기주도성 - 주체성, 책임감, 적극적태도
창의와 혁신 - 문제해결, 융합적 사고, 도전
포용성과 시민성 - 배려, 소통, 협력, 공감, 공동체 의식
개정의 주안점
국제 평가 및 국제 동향을 반영한 과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핵심 아이디어 중심의 융복합 및 통합 교육과정 구현
과학과 탐구 강화를 통한 역량 함양
디지털 AI 교육환경을 활용한 과학과 디지털 Al 소양 교육
반응형
'수업 평가 교육과정 >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개정교육과정 국민참여소통채널 (0) | 2022.09.08 |
---|---|
2022개정교육과정각론 유튜브영상정리 (0) | 2022.07.20 |
캐나다BC주커리큘럼 역량빅아이디어 (0) | 2022.06.06 |
교사교육과정구현을위한도움자료즐겨찾기4호 (0) | 2022.05.27 |
2022 개정 교육과정 공청회 자료집 (0) | 2022.05.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