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층운
Cirrostratus, Cs
엷은 구름, 봄안개구름
각양각색의 대기 광학 현상을 만들어 내는 하늘의 마법사
권층운과 고층운은 구별하기 쉽지 않습니다.
상층운 약 5-15 km 높이
고층운에는 무리가 생기지 않고, 권층운에서는 지상에 그림자가 생기지만 고층운에서는 지상에 그림자가 확실하게 생기지 않는다는 것 정도로 두 구름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즉 권층운에서는 무리가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무리는 구림이 태양이나 달 표면을 가릴 때 달의 둘레에 생기는 불그스름한 빛의 둥근 테, 대기 중에 떠 있는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에 의한 빛의 굴절 혹은 반사 때문에 생깁니다.
원리 사진
태양빛 또는 달빛이 구름 속에 있는 육각기둥 모양의 얼음 결정 때문에 굴절되어 태양 또는 달을 중심으로 원형의 빛 테두리가 생기는 현상을 무리(헤일로)라고 합니다. 시반지름이 22도인 무리(안무리)를 가장 자주 볼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HYYBt/btrd0vgcMCv/EcKZYxJCRe4jPdv28lkX10/img.jpg)
Copyright 2021. Jin Yeon Ja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
반응형
'중3 과학 2022개정교육과정 > 2단원 날씨와 기후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층운 고적운 Altocumulus Ac 양떼구름 얼룩구름 (0) | 2021.09.12 |
---|---|
중층운 고층운 Altostratus As 반투명구름 불투명구름 (0) | 2021.09.12 |
상층운 권적운 Cirrocumulus Cc 비늘구름 고등어구름 렌즈구름 파도구름 벌집구름 (0) | 2021.09.10 |
상층운 권운 Cirrus Ci 새털구름 털구름 갈고리구름 나이키모양구름 명주실구름 방사구름 (0) | 2021.09.09 |
10종구름의종류 구름분류 구름이름 구름명칭 (0) | 2021.09.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