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듀테크 인공지능/에듀테크 활용 수업

EBS 온라인클래스 매뉴얼 메뉴얼 FAQ 강의 온라인공공학습시스템

by 진연자 2021. 8. 13.

EBS 온라인클래스 강의 방법

2021년 8월 13일 금 10시 - 11시 30분
경민중학교 교사

아래 사진과 같이 왼쪽에 패들렛 설명, 화면 2/3에 온라인 클래스를 띄우고 연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패들렛에 글을 작성한 후 펼치면 다음과 같은 형태로 보여질 수 있어 효과적으로 강의 내용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갤럭시 탭 S7로 학생 버전으로 로그인을 하여 학생의 화면도 보여줄 수 있습니다.

EBS 온라인클래스의 장점

01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사이트 내에서 수업 수강, 실시간 수업(온클라이브, 화상수업), 퀴즈, 토론, 설문, 과제 제출 등이 가능합니다.

02 수업 구성 시 EBS 강좌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내 강좌 관리] - [신규 강좌 만들기] - [강좌 정보 입력] - [강의 불러오기] - 필요한 EBS 강의 선택

이렇게 하면 필요한 강좌만 끌어다가 수업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03 온클라이브로 유튜브 영상 송출 시 끊김이 거의 없습니다. 줌보다 영상 송출은 나은 것 같습니다. 줌으로 영상을 송출할 때 태블릿 화면으로 보면 끊깁니다. 그렇지만 온클라이브는 끊김이 없습니다.

04 온클라이브는 모둠 활동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모둠활동 시간 설정, 자동 종료, 1분 전 알림 등 기능이 있으며, 모둠을 구성할 때 학생 배치, 모둠장 체크, 모둠별로 공지하기 등 다양한 기능이 있습니다.

05 학생들은 첫 화면에서 시간표와 같이 구성된 부분을 보고 클릭하여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 별도로 방을 찾아들어가지 않아도 됩니다.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06 진도율을 %로 확인할 수 있어 학생들의 학습 상황을 좀 더 세밀하게 볼 수 있습니다. 학생이 자신의 진도율을 확인할 수 있어 학습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07 갤럭시 탭 S7로 로그인했을 때 무리없이 수업 수강, 온클라이브 등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08 온클라이브 즉 화상수업 후 수업영상 파일이 자동으로 저장되어 바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09 학급 클래스 운영 시 조종례도 바로 가능합니다. 교사는 얼굴을 보여주고, 학생들은 얼굴을 보이지 않은 상태에서 출석체크와 공지사항 확인이 가능합니다.

EBS 온라인클래스의 아쉬운 점

01 어플리케이션이 없어 알림이 잘 되지 않습니다.

02 시간표를 교시별로 볼 수 있도록 하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03 도덕, 음악, 체육과 같은 교과의 EBS 자료는 없어서 그 부분이 아쉽습니다.

EBS 온라인클래스 매뉴얼 FAQ

패들렛에서 EBS 온라인크래스 매뉴얼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21년 8월 12일 버젼
https://ko.padlet.com/fieldjjin/0812

0812 경민중학교 EBS 온라인클래스 연수

기발함을 담아 만듦

padlet.com

강의 Q&A

EBS온라인클래스의 쪽지와 채팅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전달하거나 공지하는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교사가 쪽지를 보내고, 채팅을 개설할 수 있다.
줌으로 연수할 시 온클라이브의 화면이 켜지지 않는 이유는 줌에서 카메라와 마이크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조회 또는 종례별로 시간을 다르게 지정할 수는 없다.
온클라이브는 지금 바로, 10분 후, 30분 후와 같이 수업 직전에 개설하는 화상수업이고, 화상수업은 날짜를 지정하여 예약할 수 있다. 즉 몇 일 전에 수업을 예약하기 위해선느 화상수업으로, 수업 직전에 학생들에게 알리기 위해서는 온클라이브를 활용하면 된다. 그렇지만 온클라이브와 화상수업은 같은 것이다.


EBS 온라인클래스 카카오톡방 질의응답 모음 구글 스프레드시트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hyocW4c5L4BWkDsisBWx2Up7q1zUDVkv8Pse0jt2gbM/htmlview

EBS 온클 공부방 질의응답정리 - Google Drive

강좌의 개념음...강좌를 1차시 수업으로 볼 건인지, 과목으로 볼 것인지는 정하기 나름 같습니다.1차시 수업으로 볼 경우..강의1 : 콘텐츠 시청강의2 : 퀴즈강의3 : 설문조사로 구성한다고 치면 3개

docs.google.com

반응형

댓글